전공과정 이수방법
글로벌비즈니스 전공은 교양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하며, 전공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2025학년도 입학생부터는 단일전공의 경우 전공 최저 60학점을 이수하여야 하며, 마이크로디그리 전공 12학점(타 전공도 가능)도 포함한다.
심화전공 이수 학점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60학점을 이수 할 경우
- 본인 전공에 개설된 전공 48학점과 본인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 할 경우
부·복수전공 이수 학점
- 복수전공의 경우 최저 36학점(전공핵심 9학점 필수), 부전공은 최저 24학점(전공핵심 6학점 필수)이상을 이수한다.
졸업 이수 학점
-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최소 130학점 이상이다. 또한, 전공 교과목 중에서 전공핵심으로 지정된 12학점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이수학년 | 개설학기 |
전공핵심 | 글로벌비즈니스입문 | 3 | 2 | 1 | |
비즈니스실무 | 3 | 2 | 2 | ||
비즈니스계약및결제 | 3 | 3 | 1 | ||
비즈니스관계법 | 3 | 3 | 2 |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교육목적
(가) 비즈니스전략&협상
비즈니스의 핵심역량으로 비즈니스 상대방을 물색하기 위한 협상 능력과 글로벌 업무의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한 무역계약·통관, 글로벌 운송 및 보험, 대금결제, 무역클레임, 협상 등 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양성
(나)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세계화 시대에 필수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 회의, 발표, 문서작성, 협상, 고객상담 등 전문적인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 양성
교육내용
(가) 글로벌비즈니스&전략
제4차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무역 실무ㆍ글로벌경영ㆍ물류·유통관리의 개별 학문 분야를 융합한 단일의 3차원 교과과정을 구축하고, 디지털 무역과 물류, 운송 등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글로벌 환경변화에 적합한 글로벌 무역 전문인력이 되기 위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나)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비즈니스 문서 작성,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드 잉글리쉬, 통상과 FTA 환경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전문인력이 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이수방법
- 본인 전공에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전공은 전공 학점으로만 인정되며, 타 전공에서 개설된 마이크로디그리 12학점을 이수하여야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글로벌비즈니스 전공에 개설된 전공핵심 교과목을 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필요한 학점은 지정된 교과목 12학점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표 참조).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이수학년 | 개설학기 |
비즈니스협상&전략 | 비즈니스경제 | 3 | 2 | 1 | |
세계지역연구 | 3 | 2 | 2 | ||
비즈니스협상 | 3 | 3 | 1 | ||
글로벌경영전략 | 3 | 3 | 2 |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이수학년 | 개설학기 |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 트레이드잉글리쉬 | 3 | 2 | 1 | |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 3 | 2 | 2 | ||
비즈니스창업 | 3 | 4 | 1 | ||
비즈니스세미나 | 3 | 4 | 2 |